곶자왈
모든것이 얽히고 섞여있다. 생존을 하기위해 참아내야 하고 버텨야 하며 때로는 기회에 따라 그 정체를 들어내야하고 한 번 나오면 갈 수 있는한 최대한 앞질러 가야한다. 그러다 갑작스럽게 멈추고 다시 땅속으로 숨어들어가야 한다. 이는 생존의 법칙이며 자연의섭리인지 모른다. 모든것이 뒤죽박죽이다. 얹혀져 있고 덮혀져 있으며 깔려있고 부러져 있다. 그렇게 부러진 형태에 작은 기운이 몰래 숨죽이며 형태를들어낸다. 이게 곶자왈이며 내가 보고자란 할머니, 어머니들의 삶의 이야기 같다.
내것을 내형태를 만들려하면 지저분한 덩쿨이 묶어버리고 눌러버려 더이상 올라가지 못하게 얽어멘다. 그리고 끌어내린다.숨죽여 기다리다 기운을 모으고 한차례 더 뻗어 올라간다. 아니 나아갈 수 있는 방향으로 뻗쳐나간다. 그렇게 무수히 반복하면서 얽히고 섞여있다.그 누가 주도 종도 아니다. 공존이며 기생이고 생존이다.
때론 그렇게 치열하게 생존하다 꺽이고 부러져 죽는다. 그렇다고 어느 무엇도 위로해주지 않는다. 죽어서 썩어버리는그 터 위에 내자리를 만든다. 그리고 자연스레 색이바랜 형체는 하나둘 떨어져 다른 무언가의 거름이 된다. 그렇게 자연스레 흘러가고 거듭난다.
내가 먼저 있어거늘 진눌릴데로 진눌려 바닥이 되고 그곳에 내 숨구멍을 만든다. 조금씩 조금씩 널혀갈 뿐이다.너무 들어나면 안된다. 그사이로 또 무엇인가 비집고 들어와 숨통을 막아버리기 때문이다. 그렇게 그렇게 숨죽여 기다리며 틈을 만들어낸다.
-작가노트-
자연결핍증
숲은 영혼의안식과 재충전을 할 수 있는 편안한 쉼터이 며 인문학적 상상력을 발휘하게 해줄수 있는 영성의 공 간이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사람이 이동할수 있는 편의시설이 갖춰진 수목원 같은 상태의 조건속에서 가능 하다. 자연 그대로의 야생의 생태학적 공간의 숲은 공포 의 대상이기도 하다. 흔히공포영화의 소재가 되는 미지 의 장소처럼 길을 잃고 헤매다 늑대나 곰을 만나 죽음을 맞이하는 것처럼 말이다. 한편으로는 야생의 숲에 대한 두려움으로인해 인간이 쉽게 접할 수 없는 은밀한 신비 로움을 간직하는 미지의 공간이기도 하다. 마치 메리다 와 마법의 숲이나 아더왕의 전설이 있는 브로셀리엉드숲처럼... 두 달이라는 짧은 시간이지만 제주 곶자왈 숲 에서의 생활은 숲에 대한 이해를 돕고 풍경화를 다시금 그리게 해준 소중한 순간이었다.아침 햇살이 높이 솟아 오른 숲속의 나무 사이로 내려오는 찬란한 천연숲의 모 습은 인공적인 환경에서 경험할 수 없는 차원이 다른 아 름다움을 느끼게해줬다. 하지만 해가 지고 어두움이 몰 려오는 순간부터는 모든 시각적 아름다움이 공포의 숲으 로 탈바꿈 되었다. 생전 들어보지 못한 동물과 자연의소 리를 비롯하여 귀신의 노래소리와 같은 바람소리 그리고 칠흑같은 어둠은 모든 공포영화속 상상의 도구를 다 꺼 내놓게 하였다. 내가 머물던 곳에는조그마한 숲길이 있 었지만은 그곳에서 10m만 벗어나면뱀과 지네 그리고 한 번도 보지못한 벌레들이 득실거리는 야생 그자체였다. 딱 한 번의 야생탐방이 있었지만 그시간은 공포와 설레 임 그리고 두려움과희열을 동시에 체험하게 해준 시간 이기도 했다. 모든 것들이 뒤얽혀서 꿈틀거리는 것만 같 았다. 고목나무가 쓰러져 있고 그 옆으로 덤불과 이끼에뒤덮힌 바위와 토목이 무성히 얽기섥기 우거져 자라고 있다.
하지만 이는인간들이 만들어놓은 빌딩 숲보다 조화로웠으며 장엄하고 숭고하고 엄숙함에 대한 전율을 돋게 하는 느낌이었다. 우리 아니 현대 인간은 문명의 이기의익숙함으로 더 이상 자연 속에서 자유롭게 놀거나 다 른 생명체들과 교감하지 못하면서 신체.정서적 문제가 발생하는 ‘자연결핍증’ 증세를 갖고 있다.나아가 야생 숲의 아름다움을 이해 못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인간의 힐링의 공간이고 영감의 원천이란 숲은 거 대한 야생의 숲이 아닌 인간에맞추어 정렬된 인공의 수목원이다. 전세계적으로 자연보호라는 명목하에 많 은 활동이 있지만 이것은 단지 인간의 편리에 기준을 둔 조경에 지나지 않는다.모든 생명체에는 존재의 이유 가 있다. 심지어 썱어버린 고목에게도 살아있는 초목에 양분을 제공하기 위한 존재가치가 있다. 하지만 환경 보호를 위해꽃꽂이 하듯 눈에 보기좋은 것만 수집하고 그외의 것들을 쓰레기 취급하며 불태우고 버리는 숲 의 조경은 자연 생태계를 파괴하는 일과 마찬가지이다.“나무와 숲은 저마다의 생태계를 이루고 살아갈 능력 이 충분하므로 지켜보기만 하면 된다.” 는 페터 볼레벤의 말처럼 숲은 있는 그대로가 아름다운것이며 우리 는 나무의 언어에 귀를 기울이면 된다.
- 작가노트-
사회 모순 코드
소년을위한 파랑,소녀를위한 분홍
지금 우리가 속해있는 사회에서 색으로성별을 구별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분홍 혹은 핑크일 것이다. 현대사 회에서 분홍색이 여성을 상징하고 남성을 파란색으로 묘사하는 것과 같이 성 고정관념의대표 사례이기 때 문이다. 여기에서 더 큰 사회적 오류는 남자가 분홍 계열의 색상과 엮이면 동성애자 혹은 여성 같은 남자라는 사회적 시선으로 비꼬아바라본다. 사회가 정한 다수의 코드에 따라가지 않으면 마치 불법행위를 한 것 인양 살벌한 주위의 시선에 난도질 당하는 느낌마저 든다. 18 세기까지분홍색은 거의 독점적으로 남자와 관련이 있었다. 그 이유는 오래 전부터 힘과 권력의 상징이였던 피의상징인 빨강의 변형이기 때문이다. 중세 또는르네상스의 그림에서 왕과 귀족은 종종 분홍색 의상을 입고 포즈를 취했으며 여자들은 성모 마리아의 색인 파란색을 입었다. 분홍이나 핑크라는 이름을가지게 된것도 19세기에서나 만들어진 이름일뿐 빨강에 흰색 을 섞어 생생함의 상징으로 피부를 표현하는 살색의 대표적인 색상이었다. 하지만 산업혁명이후18세기 후 반부터 사회는 예술과 문학의 코드를 재창조했다. 그리고 예술과 문학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색상의 의미 변화가 핑크색이다. 19세기의낭만적인 운동이 자리잡은 이래로 핑크는 부드러움과 여성스러움 그리고 단 맛의 구체화된 색상이 되었다. -작가노트-